핸들 스템

자전거 핸들의 위치를 좀 바꾸어보면, 오고 가는 곳과 좁은 공간에 좋음을 경험합니다.
앞에서 사람이 오거나 여러 사람이 오고 가는 곳에서 진가를 드러냅니다.
물론, 한적한 곳에는 효과가 적고, 제품 구조 자체가 주는 튼튼함이 고정식에 비해서는 조금이나마 떨어질 수 있습니다. 고정식이 최고는 맞습니다.
그런데, 때로는 좁은 공간에 처하게 될 때가 있습니다. 지하철, 기차 등과 같은 대중 교통의 경우와 여러 사람이 있는 곳에서는 약간의 변화가 여러 유익으로 이어집니다.
선택입니다. 변화를 주면 타인은 물론 자신도 혜택을 입습니다. 전혀 그런 곳에서 사용하는 경우가 없는 사람도 있겠으나, 좁은 곳 등을 경험하는 사람에게는 효과가 있습니다.
원칙과 그 원칙 위의 약간의 변화, 원칙이 변하지는 않지만, 때로는 일부분이 약간의 융통성을 보임으로서 좁은 곳의 사람 여럿이 혜택이 돌아가는 그런 모습.
자전거의 주목적인 주행 시에는 해당되지 않습니다. 보관하거나 이동하거나 하는 등 주 목적은 아님에도, 때로 등장하는 필요적 모습에 대해서는 유효하다는 부분.
Suspension 서스펜션, shock absorber 쇼바라고 하는 충격 흡수의 부분도 자전거에 유용합니다. 물론, 존재의 기본은 주행이며, 부가적 부분 없이 달리는 자전거도 많이 있습니다. 다른 부분도 그렇다고 하겠습니다.
원칙, 근본은 어딘가를 향해 나아가는 주행이 자전거의 근본이며 존재 목적입니다.
여러 부수적인 모습의 등장은 필요에 편리가 더해진 것이라고 보임에도, 무시할 수는 없다고 하겠습니다. 과도한 것이 아닌, 기본의 토대 위에 있으면서 도움이 되는 그런 모습이 인생에 가치와 유익이 됩니다.
핸들의 스템이라고 하는 부품입니다. 기존 회전방식이 존재합니다만, 스템방식에 적용한 제품이 시중에 보이질 않아 고안해 봅니다.

이런 모습을 적용해 잘 만들어 핸들에 장착하여 사용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Apr 2017 |